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GoldLight Women

맞춤센터

행복한 엄마 되는 첫걸음! 금빛산부인과

순환기 센터

고혈압

고혈압이란?

혈압이란 혈관 내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혈액이 전신을 돌아다니는데 필요한 압력을 말합니다. 고혈압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혈압기로 측정하여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를 초과한 경우를 말합니다. 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들에게서 대략 5명 중 1명 이상에서 발생이 되는 질환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됩니다.

정상혈압과 고혈압

  • 정상
    120mmHg 이하(수축기 혈압) 그리고   80mmHg 이하(이완기 혈압)
  • 경계성 고혈압
    120~139mmHg (수축기 혈압) 또는  80~89mmHg(이완기 혈압)
  • 1기 고혈압
    140~159mmHg (수축기 혈압) 또는  90~99mmHg(이완기 혈압)
  • 2기 고혈압
    160mmHg 이상 (수축기 혈압) 또는   100 이상(이완기 혈압)

고혈압의 증상

  • 뒷머리가 당긴다.
  • 머리가 아프고 무거운 느낌이 난다.
  •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난다.
  • 얼굴이 빨개지고 코피가 자주난다.
  • 쉽게 피로를 느낀다.

고혈압 합병증

  •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 뇌출혈, 뇌경색
  • 만성신부전
  • 안저 질환
  • 말초 혈관 질환

위험인자 : 고혈압의 가족력, 음주, 흡연, 고령, 운동 부족, 비만, 짜게 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필요한 검사 : 심전도, 흉부사진, 혈액검사(필요 시 심장초음파)

치료 : 약물치료(혈압강하제), 생활습관 교정

심부전

심부전이란?

심장은 혈액 순환을 유지시키는 펌프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각종 심장질환으로 인해 심장의 고유 기능이 악화되어 전신에 충분한 혈류를 보내지 못하는 상태를 심부전이라고 합니다.
좌심장의 기능 감소에 의해 체순환이 감소하면 피로감과 쇠약감, 그리고 폐에 물이 차면서 발생하는 호흡곤란이 생깁니다. 우심장의 기능 감소에 의해서는 주로 전신이 붓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심부전의 원인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관상동맥(심장동맥) 질환입니다. 관상동맥 질환은 심장의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막히는 상태입니다.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심장은 정상적으로 펌프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오랫동안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치료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약물치료를 받으면 심장의 활동이 정상화되고 심부전 증상이 완화됩니다.

심부전을 유발하는 주요 질환

  • 관상동맥 질환
  • 고혈압
  • 심방세동
  • 심장판막 질환
  • 심장근육 질환 (심근병증)
  • 빈혈, 갑상선 질환, 콩팥 질환 등

심부전의 주요 증상

  • 호흡곤란
  • 발목부종
  • 만성피로
  • 불면증
  • 복수가 차고 소화가 잘 안됨
  • 밤에 소변을 자주 봄

심부전의 진단

  1. 문진
  2. 신체검사
  3. 혈액검사
  4. 흉부X-ray검사
  5. 심전도 검사
  6. 심장초음파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

심장 초음파 검사란?

고주파수의 초음파를 심장에 발신하여 돌아오는 반사파(echo)를 수신하여 심장의 형태나 운동을 영상으로 나타내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초음파의 단증상은 심장의 전체상, 내부 구조의 상호 관계를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결손공, 기형, 판막 장애 등의 확인에 응용됩니다.

검사방법

초음파의 발신기능과 수신기능을 가진 초음파 발진기(프로브)를 흉부에 대고 초음파를 심장에 발신하여 반사된 에코를 초음파 검사 장치의 브라운관에 나타나도록 하여 그 단층면의 영상을 관찰합니다.

TOP